반응형
수족구, 장염, 감기부터 RSV까지 소아과 대표 질환 증상과 예방법을 정리했습니다.
“아이가 또 열이 나요. 이번엔 뭘까요?”
육아를 하다 보면 하루가 멀다 하고 아이가 아프다는 말, 정말 남 일이 아닙니다.
특히 어린아이들은 면역력이 약하고 외부 바이러스에 민감해 소아과 질환에 자주 노출되기 쉽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부모들이 꼭 알아야 할 소아 질환 8가지와 그 증상, 유행 시기, 대처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1. 소아과 질환, 왜 반복될까?
아이들은 감염 후에도 완전한 면역을 얻기 어려워 같은 질환을 반복해서 앓기도 합니다.
또한 유치원, 어린이집, 놀이시설 등 집단 환경은 감염병 전파의 주요 경로입니다.
2. 대표 소아과 질환 8가지
질환명 | 주요 증상 | 유행 시기 | 대처 팁 |
---|---|---|---|
수족구병 | 손·발·입 수포, 고열 | 여름 (6~8월) | 격리, 손 씻기 철저 |
장염 | 설사, 구토, 복통 | 여름~가을 | 수분 보충, 식단 조절 |
RSV 감염증 | 기침, 쌕쌕거림, 호흡곤란 | 겨울~봄 | 병원 진단, 흡입치료 필요 |
돌발진 | 갑작스런 고열 → 몸 발진 | 6~24개월 | 해열제, 휴식, 자연회복 |
아데노바이러스 | 고열, 인후통, 결막염, 설사 | 봄~여름 | 격리, 위생 관리 |
독감 | 39도 이상 고열, 몸살 | 겨울 | 예방접종, 격리 |
중이염 | 귀통증, 열, 보챔 | 계절무관 (수영 후 ↑) | 이비인후과 내원 |
기관지염 | 기침, 가래, 열 | 겨울~초봄 | 수분 섭취, 습도 조절 |
📌어린이장염 👉 바로 알아보러 가기
3. 소아 질환 초기 대처법
- 고열: 해열제 사용 기준은 38.5도 이상
- 설사/구토: ORS 수분 보충, 미음부터 시작
- 기침/가래: 습도 유지, 따뜻한 물
- 피부 발진: 열꽃 vs 바이러스 구분 관찰
4. 예방이 최고의 치료
- 손 씻기, 마스크 생활화
- 아이 용품 자주 소독
- 증상 있을 땐 등원·외출 자제
- 형제 자매 간 격리 생활화
📍마무리
소아 질환은 부모의 정보력이 곧 아이의 건강을 지키는 무기입니다.
증상 발현되기 전 미리 알아두면 좋습니다!!
반응형